199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1995년 1월 17일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 피해 이재민을 지원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센트럴 리그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퍼시픽 리그는 세이부 라이온스의 히가시오 오사무 감독이 이끌었다. 1차전은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4-4 무승부로 종료되었고, 2차전은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센트럴 리그가 7-6으로 승리했다. 한편, 요코하마 구단 사장의 팬 투표 참여 호소로 인해 선수 선출 논란이 있었고, 올스타전에 앞서 자선 드림 게임도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야구 - 1995년 한국프로야구
1995년 한국프로야구는 OB 베어스가 정규시즌 우승과 롯데 자이언츠와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병규의 타격왕, 이상훈의 다승왕 등 개인 기록이 경신되었고 김상호가 MVP를 수상하는 등 OB 베어스가 최고의 팀으로 기록되었다. - 1995년 야구 - 1995년 월드 시리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는 1995년 월드 시리즈에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4승 2패로 꺾고 톰 글래빈의 MVP 수상과 함께 1957년 이후 처음이자 애틀랜타 연고 팀 최초로 월드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 1995년 7월 -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95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정치 지형 급변, 사회적 사건, 선거 제도 변화 속에 자유민주당이 1위를 차지했으나 과반 확보에 실패하고 신진당이 약진하며 다당제 체제 심화 및 향후 정국 불안정과 한국과의 외교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 1995년 7월 - 1995년 코파 아메리카
1995년 코파 아메리카는 우루과이에서 개최되어 12개국이 참가,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한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텔레비전 중계가 처음 시작된 해에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맞붙어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와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고, 찰리 루이스는 외국인 선수 최초로 포수로 선발 출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참가한 2경기 시리즈로, 각 리그가 1승씩을 거두었으며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들과 보충 선수들이 참가했고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199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1995 산요 올스타 게임 |
스폰서 | 산요 전기 |
감독 정보 | |
센트럴 리그 감독 | 나가시마 시게오 |
퍼시픽 리그 감독 | 히가시오 오사무 |
센트럴 리그 | 에토 아키라 |
퍼시픽 리그 | 이치로 |
경기 정보 | |
날짜 | 7월 25일 |
개최지 | 요코하마 스타디움 |
스코어 | 4-4 |
MVP | 오치아이 히로미쓰 |
날짜 | 7월 26일 |
개최지 | 히로시마 시민 구장 |
스코어 | 6-7 |
MVP | 마쓰이 히데키 |
2. 경기 개요
199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1차전과 2차전, 그리고 한신·아와지 대지진 부흥 지원 자선 드림 게임으로 구성되었다. 1차전은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센트럴 리그의 오치아이 히로미쓰(요미우리)가 8회 말 동점 홈런을 기록하여 4-4 무승부로 끝났다. 2차전은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개최되었고, 센트럴 리그가 마쓰이 히데키(요미우리), 가네모토 도모아키(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활약으로 7-6으로 승리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부흥 지원 자선 드림 게임은 7월 24일 후쿠오카 돔에서 개최되었으며, 포린드림팀이 5-3으로 승리했다.
2. 1. 주요 특징
전년도 10월 8일에 치러진 경기(10.8 결전)에서 센트럴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고 1994년 일본 시리즈에서도 정상에 오른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17년 만에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다. 퍼시픽 리그에서는 전년도 우승 팀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1994년 시즌 끝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난 것에 따라 이 해부터 세이부의 감독을 맡은 히가시오 오사무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다(히가시오가 우승 감독으로서 퍼시픽 올스타팀을 지휘한 것은 1998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부터였다). 그해 1월 17일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을 지원하는 뜻에서 바비 밸런타인 감독(지바 롯데 마린스)이 이끄는 외국인 선발팀과 오 사다하루 감독(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이 이끄는 일본인 선발팀에 의한 ‘드림 게임’이 올스타전에 앞서 개최됐다.‘하마의 대마신’으로서 마무리 전문으로 활약했던 사사키 가즈히로(요코하마)가 센트럴 올스타팀의 선발로 등판한 1차전에서는 1점을 놓고 다투는 팽팽한 경기가 됐다. 센트럴 올스타팀이 1점 뒤진 상황에서 맞이한 8회말에 주포 오치아이 히로미쓰(요미우리)의 적시타로 동점을 만들어 승패는 그대로 무승부로 끝났다. 이어지는 2차전에서도 1점을 놓고 치열한 승부를 벌이다가 마쓰이 히데키(요미우리), 가네모토 도모아키(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결정적인 타격에 힘입어 센트럴 올스타팀은 7대 6으로 승리했고, 2차전 MVP는 마쓰이에게 돌아갔다.
또한 그해부터는 기존의 심판 6인제로 도입됐던 올스타전에도 심판 4인제로 도입됐다(1998년까지, 199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이후에는 6인제로 부활).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1차전이 열렸는데 이에 대해 요코하마 구단 사장은 경기의 흥을 돋우기 위해서 팬들에게 팬 투표 참여를 호소했다. 하지만 이것이 대량의 ‘조직표’를 양산시키는 결과를 낳았고 홈구장에서 개최된 요코하마에서는 사사키 가즈히로, 고마다 노리히로, 로버트 로즈, 사에키 다카히로, 글렌 브랙스, 하타야마 히토시 등 6명의 선수들이 대거 뽑히면서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됐다(다른 3명은 후루타 아쓰야와 에토 아키라, 노무라 겐지로).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의 올스타전 개최는 그 해의 2차전이 마지막이 됐다.
3. 출장 선수
199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출장 선수는 다음과 같다.
센트럴 리그 | 퍼시픽 리그 | ||||||
---|---|---|---|---|---|---|---|
감독 | 나가시마 시게오 | 요미우리 | 감독 | 히가시오 오사무 | 세이부 | ||
코치 | 기마타 다쓰히코, 미무라 도시유키 | 주니치, 히로시마 | 코치 | 오기 아키라, 스즈키 게이시 | 오릭스, 긴테쓰 | ||
colspan="4" | | |||||||
투수 | 사사키 가즈히로 (3), 사이토 마사키 (5), 이마나카 신지 (4), 야마우치 야스유키 (첫 출장), R. 체코 (첫 출장), 야마베 후토시 (첫 출장), 요시이 마사토 (2), 야부 게이이치 (2), 후루미조 가쓰유키 (첫 출장), 모리타 고키 (2) | 요코하마, 요미우리, 주니치, 히로시마, 히로시마, 야쿠르트, 야쿠르트, 한신, 한신, 요코하마 | 투수 | 이라부 히데키 (2), 시오자키 데쓰야 (첫 출장), 궈타이위안 (4), 하세가와 시게토시 (첫 출장), 호시노 노부유키 (5), 히라이 마사후미 (첫 출장), 구도 기미야스 (5), 고미야마 사토루 (3), 나리모토 도시히데 (첫 출장), 니시자키 유키히로 (7) | 지바 롯데, 세이부, 세이부, 오릭스, 오릭스, 오릭스, 다이에, 지바 롯데, 지바 롯데, 닛폰햄 | ||
colspan="4" | | |||||||
포수 | 후루타 아쓰야 (6), 무라타 신이치 (2), 세키카와 고이치 (첫 출장) | 야쿠르트, 요미우리, 한신 | 포수 | 이토 쓰토무 (12), 나카지마 사토시 (4), 후루쿠보 겐지 (첫 출장) | 세이부, 오릭스, 긴테쓰 | ||
colspan="4" | | |||||||
1루수 | 고마다 노리히로 (4) | 요코하마 | 1루수 | 기요하라 가즈히로 (10) | 세이부 | ||
2루수 | R. 로즈 (첫 출장) | 요코하마 | 2루수 | 고쿠보 히로키 (첫 출장) | 다이에 | ||
3루수 | 에토 아키라 (2) | 히로시마 | 3루수 | 마쓰나가 히로미 (11) | 다이에 | ||
유격수 | 노무라 겐지로 (5) | 히로시마 | 유격수 | 하마나 지히로 (2) | 다이에 | ||
내야수 | 오치아이 히로미쓰 (14), 다쓰나미 가즈요시 (4), 도바시 가쓰유키 (첫 출장), 와다 유타카 (5), 구지 데루요시 (2), 이시이 다쿠로 (첫 출장) | 요미우리, 주니치, 야쿠르트, 한신, 한신, 요코하마 | 내야수 | 나카무라 노리히로 (첫 출장), 호리 고이치 (첫 출장), 하쓰시바 기요시 (2), J. 프랑코 (첫 출장), 다나카 유키오 (6) | 긴테쓰, 지바 롯데, 지바 롯데, 지바 롯데, 닛폰햄 | ||
colspan="4" | | |||||||
외야수 | G. 브랙스 (2), 사에키 다카히로 (첫 출장), 하타야마 히토시 (3), 마쓰이 히데키 (2), 가네모토 도모아키 (첫 출장) | 요코하마, 요코하마, 요코하마, 요미우리, 히로시마 | 외야수 | 이치로 (2), 아키야마 고지 (11), 다구치 소 (첫 출장), 사사키 마코토 (6), D. 잭슨 (첫 출장), 가키우치 데쓰야 (첫 출장) | 오릭스, 다이에, 오릭스, 세이부, 세이부, 세이부 |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는 출장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
- 이시이 다케히로는 출장 사퇴.
3. 1.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 | |||
---|---|---|---|
감독 | 나가시마 시게오 | 요미우리 | |
코치 | 기마타 다쓰히코 | 주니치 | |
미무라 도시유키 | 히로시마 | ||
투수 | 사사키 가즈히로 | 요코하마 | 3 |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 5 | |
이마나카 신지 | 주니치 | 4 | |
야마우치 야스유키 | 히로시마 | 첫 출장 | |
R. 체코 | 히로시마 | 첫 출장 | |
야마베 후토시 | 야쿠르트 | 첫 출장 | |
요시이 마사토 | 야쿠르트 | 2 | |
야부 게이이치 | 한신 | 2 | |
후루미조 가쓰유키 | 한신 | 첫 출장 | |
모리타 고키 | 요코하마 | 2 | |
포수 | 후루타 아쓰야 | 야쿠르트 | 6 |
무라타 신이치 | 요미우리 | 2 | |
세키카와 고이치 | 한신 | 첫 출장 | |
1루수 | 고마다 노리히로 | 요코하마 | 4 |
2루수 | R. 로즈 | 요코하마 | 첫 출장 |
3루수 | 에토 아키라 | 히로시마 | 2 |
유격수 | 노무라 겐지로 | 히로시마 | 5 |
내야수 | 오치아이 히로미쓰 | 요미우리 | 14 |
다쓰나미 가즈요시 | 주니치 | 4 | |
도바시 가쓰유키 | 야쿠르트 | 첫 출장 | |
와다 유타카 | 한신 | 5 | |
구지 데루요시 | 한신 | 2 | |
이시이 다쿠로 | 요코하마 | 첫 출장 | |
외야수 | G. 브랙스 | 요코하마 | 2 |
사에키 다카히로 | 요코하마 | 첫 출장 | |
하타야마 히토시 | 요코하마 | 3 | |
마쓰이 히데키 | 요미우리 | 2 | |
가네모토 도모아키 | 히로시마 | 첫 출장 |
3. 2. 퍼시픽 리그
퍼시픽 리그 | |||
---|---|---|---|
감독 | 히가시오 오사무 | 세이부 | |
코치 | 오기 아키라 | 오릭스 | |
스즈키 게이시 | 긴테쓰 | ||
투수 | 이라부 히데키 | 지바 롯데 | 2 |
시오자키 데쓰야 | 세이부 | 첫 출장 | |
궈타이위안▲ | 세이부 | 4 | |
하세가와 시게토시 | 오릭스 | 첫 출장 | |
호시노 노부유키 | 오릭스 | 5 | |
히라이 마사후미 | 오릭스 | 첫 출장 | |
구도 기미야스 | 다이에 | 5 | |
고미야마 사토루 | 지바 롯데 | 3 | |
나리모토 도시히데 | 지바 롯데 | 첫 출장 | |
니시자키 유키히로 | 닛폰햄 | 7 | |
포수 | 이토 쓰토무 | 세이부 | 12 |
나카지마 사토시 | 오릭스 | 4 | |
후루쿠보 겐지 | 긴테쓰 | 첫 출장 | |
1루수 | 기요하라 가즈히로 | 세이부 | 10 |
2루수 | 고쿠보 히로키 | 다이에 | 첫 출장 |
3루수 | 마쓰나가 히로미 | 다이에 | 11 |
유격수 | 하마나 지히로 | 다이에 | 2 |
내야수 | 나카무라 노리히로 | 긴테쓰 | 첫 출장 |
호리 고이치 | 지바 롯데 | 첫 출장 | |
하쓰시바 기요시 | 지바 롯데 | 2 | |
J. 프랑코 | 지바 롯데 | 첫 출장 | |
다나카 유키오 | 닛폰햄 | 6 | |
외야수 | 이치로 | 오릭스 | 2 |
아키야마 고지 | 다이에 | 11 | |
다구치 소 | 오릭스 | 첫 출장 | |
사사키 마코토 | 세이부 | 6 | |
D. 잭슨 | 세이부 | 첫 출장 | |
가키우치 데쓰야 | 세이부 | 첫 출장 |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는 출장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
4. 경기 결과
199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에서는 심판 4인제가 도입되어 1998년까지 유지되었다가, 1999년부터 다시 6인제로 운영되었다.
전년도 일본 시리즈 우승팀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올 센트럴 리그를, 세이부 라이온즈 감독 히가시오 오사무가 올 퍼시픽 리그를 지휘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피해 지원을 위해 보비 발렌타인 감독(롯데)의 외국인 선발팀과 오 사다하루 감독(다이에)의 일본인 선발팀 간의 드림 게임이 개최되었다.
1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은 사사키 카즈히로가 선발 등판하여 1점 차 승부가 펼쳐졌고, 오치아이 히로미츠의 동점 홈런으로 무승부를 기록했다. 2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역시 1점 차 접전 끝에 마쓰이 히데키, 가네모토 도모아키의 활약으로 센트럴 리그가 승리했다.
한편, 요코하마 구단의 팬 투표 독려로 사사키 카즈히로 등 6명의 요코하마 선수가 팬 투표로 선출되어 논란이 일었다.
4. 1. 1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1차전은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으며, 양 팀은 팽팽한 투수전을 펼쳤다. 센트럴 리그의 오치아이 히로미츠(요미우리 자이언츠)가 8회에 하세가와 시게토시를 상대로 동점 솔로 홈런(1호)을 기록하며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 경기는 2시간 51분 만에 종료되었고,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처리되었다. MVP는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수상했다.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합계 |
---|---|---|---|---|---|---|---|---|---|---|
전 파 | 1 | 0 | 0 | 0 | 0 | 0 | 0 | 3 | 0 | 4 |
전 세 | 0 | 0 | 0 | 1 | 0 | 2 | 0 | 1 | 0 | 4 |
- 전 파 투수: 쿠도 키미야스(다) - 궈타이위안(서) - 니시자키 야스히로(일) - 하세가와 시게토시(오) - 히라이 마사시(오)
- 전 파 포수: 이토 츠토무(서) - 코쿠보 켄지(근) - 나카지마 사토시(오)
- 전 세 투수: 사사키 카즈히로(요) - 이마나카 신지(중) - 모리타(요) - 야부 케이이치(신) - 고미조(신)
- 전 세 포수: 후루타 아츠야(야)
- 홈런: 오치아이 히로미츠(거) 1호(8회 솔로, 하세가와 시게토시)
4. 1. 1. 상세 정보
구 분 | 퍼시픽 리그 | 센트럴 리그 |
---|---|---|
1번 타자 | 이치로(좌익수) | 노무라 겐지로(유격수) |
2번 타자 | 사사키 마코토(우익수) | 이시이 다쿠로(3루수) |
3번 타자 | 프랑코(1루수) | 마쓰이 히데키(중견수) |
4번 타자 | 기요하라 가즈히로(지명타자) | 오치아이 히로미쓰(지명타자) |
5번 타자 | 다나카 유키오(유격수) | 로즈(2루수) |
6번 타자 | 아키야마 고지(중견수) | 브랙스(우익수) |
7번 타자 | 하쓰시바 기요시(3루수) | 후루타 아쓰야(포수) |
8번 타자 | 고쿠보 히로키(2루수) | 고마다 노리히로(1루수) |
9번 타자 | 이토 쓰토무(포수) | 하타케야마 히토시(좌익수) |
선발 투수 | 구도 기미야스 | 사사키 가즈히로 |
퍼시픽 리그 | 구도 기미야스(다이아) → 궈타이위안(세이부) → 니시자키 유키히로(닛폰햄) → 하세가와 시게토시(오릭스) → 히라이(오릭스) |
---|---|
포수 교체 | 이토 쓰토무(세이부) → 고쿠보 히로키(긴테쓰) → 나카지마 사토시(오릭스) |
센트럴 리그 | 사사키 가즈히로(요코하마) → 이마나카 신지(주니치) → 모리타(요코하마) → 야부 게이이치(한신) → 고미조(한신) |
포수 교체 | 후루타 아쓰야(야쿠르트) |
회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합계 |
---|---|---|---|---|---|---|---|---|---|---|
퍼시픽 리그 | 1 | 0 | 0 | 0 | 0 | 0 | 0 | 3 | 0 | 4 |
센트럴 리그 | 0 | 0 | 0 | 1 | 0 | 2 | 0 | 1 | 0 | 4 |
4. 1. 2. 수상 선수
오치아이 히로미쓰(요미우리)가 MVP를 수상하였다.4. 2. 2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2차전은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열렸으며, 야마우치 야스유키(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승리 투수, 이라부 히데키(지바 롯데 마린스)가 패전 투수가 되었고, 후루미조 가쓰유키(한신 타이거스)가 세이브를 기록하며 센트럴 리그가 7대 6으로 승리했다. 기요하라 가즈히로(세이부 라이온스), 고쿠보 히로키(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이상 퍼시픽 리그), 가네모토 도모아키(히로시마 도요 카프) (이상 센트럴 리그)가 홈런을 기록했다. 경기는 3시간 4분 동안 진행됐다.경기 결과 요약 |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득점 | 안타 | 실책 |
전파시(1차전) | 0 | 1 | 0 | 2 | 2 | 0 | 0 | 0 | 1 | 6 | 10 | 1 |
전센(2차전) | 2 | 0 | 0 | 1 | 0 | 3 | 1 | 0 | X | 7 | 14 | 1 |
4. 2. 1. 상세 정보
{| class="wikitable" style="width:60%; text-align:center;"|-
! colspan="3" | 상세 정보
|-
! 퍼시픽 리그
! 센트럴 리그
|-
|
타순 | 포지션 | 선수 |
---|---|---|
1 | 좌익수 | 이치로 |
2 | 1루수 | J. 프랑코 |
3 | 3루수 | 다나카 유키오 |
4 | 지명타자 | 기요하라 가즈히로 |
5 | 중견수 | 아키야마 고지 |
6 | 2루수 | 고쿠보 히로키 |
7 | 우익수 | D. 잭슨 |
8 | 포수 | 나카지마 사토시 |
9 | 유격수 | 호리 고이치 |
투수 | 고미야마 사토루 |
|
타순 | 포지션 | 선수 |
---|---|---|
1 | 유격수 | 노무라 겐지로 |
2 | 2루수 | 다쓰나미 가즈요시 |
3 | 중견수 | 마쓰이 히데키 |
4 | 지명타자 | 오치아이 히로미쓰 |
5 | 3루수 | 에토 아키라 |
6 | 좌익수 | 가네모토 도모아키 |
7 | 1루수 | 고마다 노리히로 |
8 | 포수 | 세키카와 고이치 |
9 | 우익수 | 도바시 가쓰유키 |
투수 | R. 체코 |
|-
! colspan="2" | 경기 결과
|-
| colspan="2"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득점 | 안타 | 실책 |
---|---|---|---|---|---|---|---|---|---|---|---|---|
퍼시픽 | 0 | 1 | 0 | 2 | 2 | 0 | 0 | 0 | 1 | 6 | 10 | 1 |
센트럴 | 2 | 0 | 0 | 1 | 0 | 3 | 1 | 0 | X | 7 | 14 | 1 |
colspan="12" | |
|}
|}
4. 2. 2. 수상 선수
MVP는 마쓰이 히데키(요미우리 자이언츠)였다.5. 한신 대지진 부흥 지원 자선 드림 게임
1995년 1월 17일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 피해 이재민을 지원하기 위해, 올스타전에 앞서 바비 밸런타인 감독(지바 롯데)이 이끄는 외국인 선발팀과 오 사다하루 감독(다이에)이 이끄는 일본인 선발팀 간의 '드림 게임'이 개최되었다.
5. 1. 경기 내용
올스타 게임에 앞서 그해 1월 17일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의 지원을 목적으로 열린 드림 매치이다. 일본인 선발로 구성된 ‘재팬드림팀’과 외국 국적 선수 선발 또는 야구 유학 경험이 있는 일본인 포수로 구성된 ‘포린드림팀’이 대결했다. 이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은 개런티를 일절 받지 않고, 구장 사용료도 무료인 완전한 자선 경기로 시작된 경기였다. 경기는 재팬드림팀에서 2개의 홈런이 나왔지만 메이저 리그 플레이를 과시한 포린드림팀이 승리하여 약 1억엔의 경기 수익금을 기부했다.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득점 | 안타 | 에러 | |
---|---|---|---|---|---|---|---|---|---|---|---|---|
포린드림 | 0 | 1 | 0 | 2 | 1 | 0 | 0 | 1 | 0 | 5 | 9 | 0 |
재팬드림 | 0 | 1 | 0 | 0 | 0 | 0 | 0 | 1 | 1 | 3 | 11 | 0 |
- 승리 투수: 킵 그로스(닛폰햄)
- 패전 투수: 기다 마사오(요미우리)
- 홈런:
- * 재팬드림: 사사키 마코토(세이부·1점), 이치로(오릭스·1점)
6. 미디어 중계
TV 중계는 1차전이 '''후지 TV(フジテレビジョン)'''에서 마츠쿠라 에츠로 아나운서와 타오 야스시(간사이 TV) 해설, SMAP 게스트로 진행되었다. 2차전은 '''TBS 텔레비전(TBSテレビ)'''(제작 협력: RCC·MBS)에서 이시카와 아키라 아나운서, 키누가사 사치오(TBS), 우시지마 카즈히코(TBS·CBC) 해설, 쿠리야마 히데키(TBS 해설자), 마츠시타 켄지(TBS) 벤치 리포트, 하시모토 히로유키(RCC), 유우키 테츠로(MBS) 불펜 리포트로 진행되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부흥 자선 드림 게임은 '''TV 아사히(テレビ朝日)'''(제작 협력: 큐슈 아사히 방송)에서 마츠이 야스마 아나운서, 오시타 타케시(ANB·HOME), 키타벳푸 마나부(ANB·HOME), 마츠누마 마사유키(ANB), 이나오 카즈히사(ABC) 해설, 가토 히데시(닛폰햄 코치), 무라야마 미노루(ABC 해설자) 게스트 해설, 노자키 야스히로(닛칸 스포츠) 게스트, 마나베 유이(ANB) 벤치 리포트로 방송되었다.
라디오 중계는 1차전의 경우 NHK 라디오 제1 방송에서 마츠모토 이치로 아나운서, 모리 마사아키, 후지타 모토시 해설, TBS 라디오(JRN)에서는 마츠시타 겐지 아나운서, 타부치 코이치 해설, 우치다 유키 게스트로 방송되었다. 분카 방송(라디오 오사카에도 네트워크)에서는 토야 마사토 아나운서, 쿠리하시 시게루, 니시모토 사토시 해설, 닛폰 방송(NRN)에서는 쿠리무라 사토시 아나운서, 히라마츠 마사지 해설, 나카이 미호 게스트, 라디오 일본(독립계)에서는 나이토 히로유키 아나운서, 도이 쇼조 해설로 중계되었다.
2차전은 NHK 라디오 제1에서 사이토 요이치로 아나운서, 츠루오카 카즈토, 호시노 센이치 해설, TBS 라디오 (JRN)에서는 하야시 마사히로 아나운서, 하리모토 이사오, 후쿠모토 유타카(ABC) 해설, 나카무라 히데아키 리포터, 분카 방송 (라디오 오사카에도 네트워크)에서는 마츠모토 케이지 아나운서, 야마자키 히로유키, 히라노 미츠야스 해설, 닛폰 방송 (NRN)에서는 이와시타 야스히코 아나운서, 마츠오카 히로시, 하세가와 료헤이(RCC) 해설, 라디오 일본 (독립계)에서는 하야카와 켄지 아나운서, 아오타 노보루 해설로 중계되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부흥 자선 드림 게임은 TBS 라디오 (JRN/RKB 마이니치 방송 뒤송신)에서 우에쿠사 토모키 아나운서, 우시지마 카즈히코(TBS), 야마우치 타카노리, 사다오카 쇼지(TBS) 해설, 분카 방송 (관동 로컬)에서는 스즈키 미츠히로 아나운서, 토요다 야스미츠 해설, 닛폰 방송 (NRN)에서는 미야타 토키 아나운서, 히라마츠 마사지, 마츠누마 히로히사, 안도 모토오(MBS) 해설, 치코 발본 게스트 해설, 라디오 일본 (독립계)에서는 소메야 케이지 아나운서, 타카다 시게루 해설로 중계되었다.
6. 1. TV 중계
경기 | 방송사 | 중계 | 해설 | 게스트 해설 | 게스트 | 벤치 리포트 | 불펜 리포트 |
---|---|---|---|---|---|---|---|
1차전(7월 25일) | 후지 TV(フジテレビジョン) | 마츠쿠라 에츠로 | 타오 야스시 (간사이 TV(KTV) · CX) | SMAP | |||
2차전(7월 26일) | TBS 텔레비전(TBSテレビ)≪제작 협력: RCC(中国放送)·MBS(毎日放送)≫ | 이시카와 아키라 (TBS) | 키누가사 사치오 (TBS), 우시지마 카즈히코 (TBS · CBC(CBCテレビ)) | 쿠리야마 히데키 (TBS 해설자), 마츠시타 켄지 (TBS) | 하시모토 히로유키 (RCC), 유우키 테츠로 (MBS) | ||
한신 대지진 부흥 자선 드림 게임(7월 24일) | TV 아사히(テレビ朝日)≪제작 협력: 큐슈 아사히 방송(九州朝日放送)≫ | 마츠이 야스마 (ANB) | 오시타 타케시 (ANB · HOME(広島ホームテレビ)), 키타벳푸 마나부 (ANB · HOME), 마츠누마 마사유키 (ANB), 이나오 카즈히사 (ABC(朝日放送テレビ)) | 가토 히데시 (닛폰햄(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 코치), 무라야마 미노루 (ABC 해설자 · 본인도 한신 대지진 피해자) | 노자키 야스히로 (닛칸 스포츠) | 마나베 유이 (ANB) |
6. 2. 라디오 중계
(7월 25일)(7월 26일)
(7월 24일)